| ■ Step1_32:  묻는말 ~니?(~인가? ~입니까?),
 부정으로 물을 때 대답으로서의 Yes와 No
 
 
 
 ■한글에서는 꼬리를 '니?'로 바꾸면 묻는 말이 되므로 간단하다.
 즉, ~이다 => ~이니?, ~한다 => ~하니?
 
 영어에서는 be/조동사를 맨 앞으로 빼면 된다.
 아래와 같은 순서로 하면 틀리지 않고 또 쉽다.
 먼저, 말안에 be나 조동사가 있나 본다,
 다음, 있으면, be/조동사를 앞으로 내보내고,
 없으면, 자고있는 향단이do를 깨워(do,does,did)서 앞으로 내보낸다.
 
 그러면 한가지 씩 살펴보자.
 
 ▶영어에서는 말안에
 be(am,is,are,was,were)나  조동사(can,could, will,would, may, must...)가 있으면, => 맨앞으로 빼면,
 I am Lee BoRam.   => Am I Lee BoRam?
 We are boys.      => Are we boys?
 
 You are Kim Hana.  => Are you Kim Hana?
 She is Park JunHa. => Is she Park JunHa?
 
 This is Jung Sura.     => Is this Jung Sura?
 That boy is Han JiMin. => Is that boy Han JiMin?
 
 They are boys.     => Are they boys?
 
 I can do.    => Can I do?
 You will do. => Will you do?
 
 ▶말안에 be 도 없고, 조동사도 없으면, =>
 자고 있는 향단이do를 깨워(do,does,did)서 앞으로 나가 묻게하면,
 
 너는 설거지 한다.                      => You wash dishes.
 향단이do를 깨우면                      => You do wash dishes. 향단이do를 앞으로 내보내 물어보게 하면 => Do you wash dishes?   너는 설거지 했다.                       => You washed dishes. 향단이do를 깨우면                       => You did wash dishes. 향단이 do를 앞으로 내보내 물어보게 하면 => Did you wash dishes?   민수는 설거지 한다.                        => Minsu washes dishes. 향단이do를 깨우면                          => Minsu does wash dishes. 향단이 do를 맨 앞으로 내보내 물어보게 하면 => Does Minsu wash dishes?
 
 ■ 6W1h : 말안에 모르는 부분이 있을 때
 말안에 모르는 부분이 있으면, 한글과 마찬가지로, 누구(who) 무엇(what) 어느것(which) 언제(when) 어디(where) 왜(why) 어떤(how)라고 말한다.
   -모르는 부분을 묻는 말 만들기 1.위에서 익힌 묻는말로 만든다 (be/조동사를 맨 앞으로 보내 묻는다) 2.모르는 부분에 해당하는 적당한말(6w1h 가운데서)을 골라 대신 놓는다 3.모르는 낱말(6w1h)를 말의 맨 앞으로 뺀다.   이건 내 가방이야.               => This is my bag. 물으면?                         => Is this my bag?
 my bag: what으로 바꾸면         => Is this what?
 what을 앞으로 빼면              => What is this?
 what is를 what's[홭즈]로 줄이면 => What's this?
 
 또는
 얘가 누구야?
 얘는this+ 이다is+ 누구who   => This is who.
 물으면>                     => Is this who?
 who를 맨앞으로 빼면>        => Who is this?
 who is를 줄이면 who's[후즈] => Who's this?
 
 넌 그것을 아침에 먹었다. => You ate it this morning.
 물으면?>                 => Did you eat it this morning?
 this morning: when으로 바꾸어 앞으로 내보내면 => When did you it?
 또는
 너는you+ 먹었다ate+ 그것을it+ 언제when => You ate it when.
 물으면?>                   
            => Did you eat it when?
 when을 맨 앞으로 빼면                  => When did you eat it?
 
 넌 다섯 살이다. =>You are five years old.
 물으면?>        =>Are you five years old?
 five years: how로 바꾸어 앞으로 내보내면 => How old are you?
 위에서 줄친 five years old 에서 five years를 how로 바꾸면, how old가 되고, how old = '몇 살' 이라는 하나의 말덩이(어구)이므로 같이 앞으로 나간다.
 
 넌 친구가 여섯있다. => You have six friends.
 물으면?>            => Do you have six friends?
 six : how many>     => How many friends do you have?
 six를 '몇명how many'로 바꾸고, how many friends가 '몇 명의 친구'라는 하나의 말덩이므로 같이 앞으로 내보냈다.
 
 이번에는,
 뭔가가 일어났니?
 뭔가something+ 일어났다happened => Something happened.
 물으면?>                        => Did something happen?
 
 그러면,
 무슨일이 일어났니?
 무슨일what+ 일어났다happened => What happened.
 물으면?>                     => What did happen?
 향단이do에 의해 '하다'가 연이어 중복되니까 => What happened?
 
 마찬가지로, 무슨 일이야?
 무슨일what+ 이다is+ 위로up => What is up.
 물으면?>                   => What is up?
 줄이면>                    => What's up?
 
 누가 이렇게 했어?
 누가who+ 했다did+ 이렇게like this => Who did like this.
 물으면?>                          => Who did do like this?
 향단이do와 '하다'가 연이어 중복되니까 => Who did like this?
 
 ※혹시 Who did like this. => Who did do like this? 가 이해가 안되면;
 누가who+ 했다did+ 이렇게like this => Who did like this.
 향단이do를 깨우면>                => Who did do like this.
 향단이do를 나가묻게하면>          => Did who do like this?
 who를 맨앞으로 빼면>              => Who did do like this?
 이제,연이어 중복되는 향단이do를 빼면 => Who did like this?
 
 
 ■ 부정으로 물을 때 대답으로서의 Yes 와 No
   -물는 말에는 ~이니? 또는 ~아니니? 모양이 있다.  그 중에서 ~이니? 라고 물을 때는 상관이 없는데, ~아니니? 와 같이 '안'을 써서 묻는 경우에 예(Yes) 아니오(No)를 쓰는 방식이 한글과 영어는 차이가 있다. 아래를 가만히 들여다 보자.   -결론은, 영어에서는 긍정으로 묻든 부정으로 묻든 어떻게 묻든 상관없이, 대답의 내용이 긍정이면 'Yes' 대답의 내용이 부정이면 'No'이다.   ▶~이니(긍정)라고 물을 때   그거 재미 있니?    => Is it fun? 예, 재미 있다.     => Yes, it is. 아니, 재미 없다.   => No, it is not.   위에서 처름  한글에서 ~이니? 라고 물으면, 대답은  예 + ~이다 (예 + 긍정) 아니오 + ~아니다  (아니오 + 부정)가 되며, 영어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아니니?(부정)라고 물으면   그거 재미 없니?  예, 재미 없다.  => No, it is not. 한글로는 '예'인데 영어로는 'No'이다. 아니, 재미 있다.=> Yes, it is.    한글로는 '아니오'인데 영어로는 'Yes'이다   위 예문에서 두 가지를 보야야 한다.하나는: ~아니니? 라고 물을 때의 대답은 예(No), 아니오(Yes) 가 되어 한글과 영어가 거꾸로 되어 버렸다.
   둘은:  한글에서는 '예 + 없다' 가 되어 긍정(예)와 부정(없다)가 같이 쓰였다. 마찬가지로 '아니오, 있다' 가 되어 부정(아니오)와 긍정(있다)가 같이 쓰였다. 그러나, 영어에서는 No(부정)과 is not(부정)이 쓰였고, Yes(긍정)과 is(긍정)이 쓰였다.   영어는 ~이니?라고 묻든 ~아니니?라고 묻든 대답에서 'Yes +긍정' 'No,+부정'으로 변함이 없는데, 한글에서는 그렇지가 않다. 왜 그럴까?   ▶한글에서는 묻는 사람의 말에 초점을 두어, 다시말해서 '없니?' 라는 말에 초점을 두고 '예/아니오'라고 대답을 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영어에서는 묻는 사람의 말에 초점을 두지 않고, 대답하는 내 말에 초점을 두고 대답을 한다. 다시말해서, 묻는 사람이 부정으로 묻든 긍정으로 묻든 신경쓰지 않고, 내 대답이 긍정이면 Yes, 부정이면 No라는 말이다. 그래서, 영어에서는 Yes,+긍정. No,+부정.이 되는 것이다.   그러고 보면, 헷갈리기 십상이다. 그러니, 굳이 번역하려 들지 말고, 영어는 영어식으로 받아들이자. 그러면 헷갈리고 말고 할 것이 없다.   다시 한번 정리해 보자. 내가 물었는데 , 상대방이 Yes.라고 하면 그 뒷말은 ~~이다(긍정)이고, No.라고 하면 ~~아니다(부정)인 것이다. 상대방이 부정이든 긍정이든 어떻게 묻든 간에, 한글의 '예/아니오'는 신경쓰지 말고, 먼저 내대답이 긍정인지 부정인지를 생각한 다음에, 내 대답이 ~~이다 이면 Yes.이고, 내 대답이 ~~아니다 이면 No.인 것이다.   밥 안먹었나? 예, 안먹었습니다.   => 안 먹었습니다(부정): No, I didn't eat. 아니오, 먹었습니다. => 먹었습니다(긍정):    Yes, I ate.   사장님 안에 안계시나? 예, 안계십니다.    =>안계십니다(부정): No, he isn't in. 아니오, 계십니다.  =>계십니다(긍정):   Yes, he is in.
 
 낱말익히기: 예.yes, 아니오.no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