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p1_54: 안.밖 in, into, within, out, out of
■in,into,within ▶in[인]은 at.on.에 대응하는 어감으로 안.안에, 속.속에...in은 평면은 물론이고, 공간.입체의 속.안이라는 어감도 가지고 있다. ▶into[인투]는 in+to[투:~로]이므로, '밖에서 안으로'와 같이 '으로'라는 움직임을 직접적으로 말하는 어감으로, ~으로,~상태로... ▶inside[인싸이드]= in+side니까, 경계선 안쪽의 부분.공간.편...이란 말이고, 신체.건물 등과 같이 형체가 있는 것의 안쪽이라는 어감으로 많이 쓰이고, ▶within[위딘]은 with[위드:같이]+in 이니까, 어떤 기준을 두었을 때, 그 기준 안쪽.내부.이전...이라는 말인데, 건물 등... 보다는 힘.권력.능력.시간... 등의 안쪽.범위내 라는 어감으로 많이 사용된다.
어디있니? => 안에 in => 방안에 in the room 어디로 갈까? => 방안으로 into the room 집경계선 안에 => within the house 집경계선 안쪽.편에 => inside the house
존은 마당에 있니? => 아니, 안에 있어. => No, he's in. 또는 No, he's in the house. => No, he's inside. 또는 No, he's inside the house.
■in,into ▶in 어디야? => 집에 a.at home => 내가 사는 집에 b.in the house => 상황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건물(집)안에
요구르트 어디있어? => 냉장고 안에 in the freezer *freezer[프리저:냉장고] 사장님 어디계셔? => 사장님 방안에 in his room
전화를 해서, => 수잔 있어요? Is Susan in? => 수잔 없어요? Isn't Susan in? 누구세요? => 인천의 Tom이요. Tom in Incheon. 왜 전화했어? => 아파서 못간다고요. I'm calling in sick.
볼일보려고, 화장실에 누구 있어? => 쓰고 있어 It's in use. 사람들 줄서서 기다리는 거 안 보여 => Don't you see People waiting in line?! 사과상자를 쭉(옆으로) 늘어 놓았네.=> Apple-boxes are in rows.
▶into 존 들어와봐. => John. come in and see me. 뭐해! 내 방 안으로 들어와! => Come into my room! 이거 중요한 서류니까, => 가방 안에 넣어라. Put it into your bag.
꼬마들이 수영장으로 뛰어들고 있으면, => Children are diving into the pool. *dive[다이브:뛰어들다] 수영장 a swimming pool[스위밍 풀] 줄여서> a pool
국자로 퍼다 ladle,ladles,ladled- ladling,ladled [레이들,레이들즈,레이들드- 레이들링,레이들드. 바쁘니까, 국좀 퍼라. => Ladle soup into bowls.
차가 달리다가 가로수에 충돌.박치기 했는데, a. A car ran into a tree. b. A car ran to a tree. => 어감차이는?
깍두기를 담그려고, 무를 작게 썰고 있다면, => I'm cutting radish into small cubes. *cube[큐브:육면체] an ice cube 조각얼음, a sugar cube 각설탕
■inside,within 탐의 머리속에? => inside Tom's head 저 능구렁이... 저놈이 무슨 짱구를 굴리는지 알수가 없네. => I couldn't see what goes on inside his head!
이런 경우에는 환불해달라고 할 권리가 있지.(권리의 범위 안에 있어서, 그렇게 해도 된다는 어감) => You're within the rights to ask for a refund in this case.
■out,outs,outed- outting,outed[아웉,아웉츠,아웉티드- 아웉팅,아웉티드] out은 밖.밖에.밖으로.밖의.밖으로 나가다...와 같이 '밖'이라는 어감으로는 편하게 말해도 거의 무리가 없다. 확장해서>> 예컨데, 쌀독에 있는 쌀을 밖으로 다 퍼내면... 쌀독이 비게 되는... 그런 어감으로 닳아 없어지다. 다쓰고 없다.... 와 같이 '없다'라는 말로도 흔히 쓴다.
▶무슨 마누라가 그래! 왜? => 날 문밖으로 차냈지 뭐야. 문밖으로? => out the door 그럼> She kicked me out the door.
터지다 burst,bursts,burst- bursting,burst [버ㄹ스트,버ㄹ스츠,버ㄹ스트- 버ㅓ스팅,버 ㄹ스트] 두부를 사오는데 봉지가 터져서 봉지 밖으로 (땅바닥에) 떨어지면, => The bag burst and the Dubu fell out.
뭘 그렇게 골라? => 아들 줄려고 셔츠좀 고르고 있어. 아들 줄려고? => 아들을 위해 for my son 골라? 이것도 집어서 꺼내보고, 저것도 집어서 꺼내 보고... pick out 그럼> I'm picking out shirts for my son. 6월달 스케줄이 나왔네. => The schedule for Jun has come out.
붙이다.놓다 stick,sticks,stuck- sticking,stuck[스틱,스팈스,스턱- 스틱킹,스턱] 수잔네 집앞 길에서 2층에 있는 수잔방을 향해, 창문열고 머리좀 내밀어봐. => Open the window and stick your head out.
어라. 전기가 나갔네. 전기가 나가? 어디로 나가있어? => 밖으로 나가있어 be out 그럼> The electricity is out. = The electricity has been out. = The electricity has gone out. *electricity[일렉트리써티:전기]
밖에 날씨가 어때? => It's like what out. 물으면?> What is it like out? 줄이면> What's it like out? 굳이 outside라고 말하고 싶으면> What's it like outside?
▶무엇의(~of) 밖.밖으로(out) => out of 무엇 내방에서 나가! => Get out of my room! 그방에서 나와! => Come out of the room!
퇴근시간이 되니까, 건물에서 사람들이 쏟아져 나오는 구만. 흐르다 stream,streams,streamed- streaming,streamed [스트림,스트림즈,스트림드- 스트리밍,스트림드] 건물에서 어디로? => 건물의 밖으로 out of building => People are streaming out of buildings.
날씨는 더운데, 수도꼭지에서는 물한방울 안나오고. => No water out of the tap.
프린터가 안되네. => 잉크가 없어. It's out of ink. => 종이가 없어. It's out of paper.
TV가 안되네. 고장났어. 고장나? 제대로 질서정연하게 가지런히 있지 않은 상태?.... => out of order[오더:순서.질서....] 그럼> It's out of order. 이거 고장났어? => Is this out of order?
▶outside 날씨가 좋으니, 사람들이 밖에 앉아있구만. => People are sitting outside. 사람들이 밖으로 줄줄 나오고 있구만. => People are coming outside.
왜 이렇게 시끄러워. 밖에 무슨 일이야? 무슨일이야? 무엇.무슨일이 일어고 있냐고? => is going 그럼> What's going on outside?
■안.팎 상대어감을 익혀보면,
어디? => 대문안쪽 바깥쪽? Inside or outside the gate? 경사가 있어서 린다네 집 안팎으로 객이 분주하면? => 집 안팎으로 in and outside Linda's house
방안에만 달랑 하지 말고, => 안팎으로 청소좀 해라. => Clean the room inside and out.
탐은 겉이나 안이나 다 믿을 만한 사람이야. => Tom is a true person within and without.
※안팎이라면, in and out, inside and outside인데, inside and outside라고 하면 side를 두 번 말하게되니까 그중에 한번을 줄여서 => in and outside, inside and out과 같이 말하면 편하다.
■어느방? 안쪽 방. => 여기서 안쪽이란? 어떤 방이 있고, 그 방보다 더 안쪽에 있는... 그런 어감이지. 그러면 '더~한'이라는 말은 '~er'이니까 => 더 안쪽 in+ner = inner[인너] 그럼 안쪽 방 => inner room 그럼, 그런 어감으로 바깥 방은? => out+er= outer[아웉터] => outer room
inner과 outer에는 '~에'라는 어감이 없으니까, 안쪽 방에 => in the inner room 바깥쪽 방에 => in the outer room
양파를 자꾸까면 어떻게 해! 그럼? => (제일) 바깥 껍질만 벗겨야지. Remove only the outer covering. *remove[리무브:제거하다]
■■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