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am,is,are,was,were)나 조동사(can,could, will,would, may, must...)가 있으면, => 맨앞으로 빼면,
향단이do를 깨우면 => You do wash dishes. 향단이do를 앞으로 내보내 물어보게 하면 => Do you wash dishes?
너는 설거지 했다. => You washed dishes. 향단이do를 깨우면 => You did wash dishes. 향단이 do를 앞으로 내보내 물어보게 하면 => Did you wash dishes?
민수는 설거지 한다. => Minsu washes dishes. 향단이do를 깨우면 => Minsu does wash dishes. 향단이 do를 맨 앞으로 내보내 물어보게 하면 => Does Minsu wash dishes?
-모르는 부분을 묻는 말 만들기 1.위에서 익힌 묻는말로 만든다 (be/조동사를 맨 앞으로 보내 묻는다) 2.모르는 부분에 해당하는 적당한말(6w1h 가운데서)을 골라 대신 놓는다 3.모르는 낱말(6w1h)를 말의 맨 앞으로 뺀다.
이건 내 가방이야. => This is my bag.
-물는 말에는 ~이니? 또는 ~아니니? 모양이 있다. 그 중에서 ~이니? 라고 물을 때는 상관이 없는데, ~아니니? 와 같이 '안'을 써서 묻는 경우에 예(Yes) 아니오(No)를 쓰는 방식이 한글과 영어는 차이가 있다. 아래를 가만히 들여다 보자.
-결론은, 영어에서는 긍정으로 묻든 부정으로 묻든 어떻게 묻든 상관없이, 대답의 내용이 긍정이면 'Yes' 대답의 내용이 부정이면 'No'이다.
▶~이니(긍정)라고 물을 때
그거 재미 있니? => Is it fun? 예, 재미 있다. => Yes, it is. 아니, 재미 없다. => No, it is not.
위에서 처름 한글에서 ~이니? 라고 물으면, 대답은 예 + ~이다 (예 + 긍정) 아니오 + ~아니다 (아니오 + 부정)가 되며, 영어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아니니?(부정)라고 물으면
그거 재미 없니? 예, 재미 없다. => No, it is not. 한글로는 '예'인데 영어로는 'No'이다. 아니, 재미 있다.=> Yes, it is. 한글로는 '아니오'인데 영어로는 'Yes'이다
위 예문에서 두 가지를 보야야 한다.
둘은: 한글에서는 '예 + 없다' 가 되어 긍정(예)와 부정(없다)가 같이 쓰였다. 마찬가지로 '아니오, 있다' 가 되어 부정(아니오)와 긍정(있다)가 같이 쓰였다. 그러나, 영어에서는 No(부정)과 is not(부정)이 쓰였고, Yes(긍정)과 is(긍정)이 쓰였다.
영어는 ~이니?라고 묻든 ~아니니?라고 묻든 대답에서 'Yes +긍정' 'No,+부정'으로 변함이 없는데, 한글에서는 그렇지가 않다. 왜 그럴까?
▶한글에서는 묻는 사람의 말에 초점을 두어, 다시말해서 '없니?' 라는 말에 초점을 두고 '예/아니오'라고 대답을 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영어에서는 묻는 사람의 말에 초점을 두지 않고, 대답하는 내 말에 초점을 두고 대답을 한다. 다시말해서, 묻는 사람이 부정으로 묻든 긍정으로 묻든 신경쓰지 않고, 내 대답이 긍정이면 Yes, 부정이면 No라는 말이다. 그래서, 영어에서는 Yes,+긍정. No,+부정.이 되는 것이다.
그러고 보면, 헷갈리기 십상이다. 그러니, 굳이 번역하려 들지 말고, 영어는 영어식으로 받아들이자. 그러면 헷갈리고 말고 할 것이 없다.
다시 한번 정리해 보자. 내가 물었는데 , 상대방이 Yes.라고 하면 그 뒷말은 ~~이다(긍정)이고, No.라고 하면 ~~아니다(부정)인 것이다. 상대방이 부정이든 긍정이든 어떻게 묻든 간에, 한글의 '예/아니오'는 신경쓰지 말고, 먼저 내대답이 긍정인지 부정인지를 생각한 다음에, 내 대답이 ~~이다 이면 Yes.이고, 내 대답이 ~~아니다 이면 No.인 것이다.
밥 안먹었나? 예, 안먹었습니다. => 안 먹었습니다(부정): No, I didn't eat. 아니오, 먹었습니다. => 먹었습니다(긍정): Yes, I ate.
사장님 안에 안계시나? 예, 안계십니다. =>안계십니다(부정): No, he isn't in. 아니오, 계십니다. =>계십니다(긍정): Yes, he is in. |
'유연하게 말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치사(前置사.Preposition)와 부사(副사.Adverb)는 무슨 차이인가 (0) | 2008.09.03 |
---|---|
움직임말(동사) 2개를 붙여 쓸때 어감에 따른 모양을 운용해 보자 (Ving, Ved, toV) (0) | 2008.08.05 |
수동태와 능동태: ~하는 Ving <> ~되는 Ved - 사람의 느낌.감정을 말해 보자 (0) | 2008.08.05 |
명령문: ~하게 하라 (let, have, make, allow...의 어감차이를 비교하면서 말해 보자 (0) | 2008.08.05 |
명령문: ~하라, ~해라, ~합시다. 라는 말을 해보자 (0) | 2008.08.05 |
부정문: ~안, ~못 (not, no, never...)을 붙여 말해 보자 (3) | 2008.08.05 |
조동사.助動詞: 움직임말에 뜻을 보태 보자 (0) | 2008.08.05 |
시간과 어감의 표현(시제): 과거로 말해 보자 (0) | 2008.08.05 |
시간과 어감의 표현(시제): 미래로 말해 보자 (0) | 2008.08.04 |
시간과 어감의 표현(시제): 현재로 말해 보자 (2) | 2008.08.04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