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ep1_31: ~안, ~못: not, no, never ...
■한글에서는 ~안(~아니다.~아니하다.~않다...) 또는 못(~못.~못하다)를 붙여서 부정을 하는데, 영어에서는 기본적으로 'not, no, never'를 붙여서 말한다.
어감상으로는 never가 가장 강하고 never > not > no 순이 된다.
부정의 기본단어는 not이므로, not의 운용에 초점을 두고 훈련하기 바란다.
■ not을 넣어 말해 보면,
▶말안에
be(are,am,is,was,were)나
조동사(do,can,will,may,must,need...)가 있으면,
그 뒤에 not을 붙여 'be+ not' '조동사 + not' 모양이 된다.
I am John. => I am not John.
I can come. => I can not come.
▶말안에 be 나 조동사가 없으면, 향단이do가 자고 있는 것이니까, 향단이do를 깨워서 부리면 do(does,did)+ not 모양이 된다. 순서는 3단계로 하면 쉽다.
1.말안에 be나 조동사가 있는지 본다 => 없으면 => 향단이do를 깨운다
2.향단이do에게 시간표시를 넘기고, 움직임말은 원래모양V로 돌아간다
3.향단이do(do,did,does)에게 not을 메라고 한다.
자, 그러면 위의 3가지 순서대로 해보자.
난 여기 산다. => I live here.
향단이do를 깨우면 => I do live here.
향단이do가 not을 둘러메니 => I do not live here.
do not을 줄이면 don't[돈트] => I don't live here.
난 여기에 살았다. => I lived here.
향단이do를 깨우면 => I do lived here.
향단이do가 깨면, 제일 먼저 자동으로 하는 일이 시간표시므로
=> I did live here.
향단이do not을 둘러메니 => I did not live here.
did not을 줄이면 didn't[디든트] => I didn't live here.
탐이 여기에 산다. => Tom lives here.
향단이do를 깨우면 => Tom does live here.
향단이do가 not을 메면 => Tom does not live here.
does not을 줄이면 doesn't[더즌트] => Tom doesn't live here.
■ no는 이름씨 앞에 붙여서 ~안(아니다)의 표현에 쓰고, 'no+ 이름씨' 모양이 되며, not보다 어감이 약하다.
난 돈이 있다. => I have money.
not을 붙여 말하면 => I don't have money.
no를 붙여 말하면 => I have no money.
그럼 어감차이는?
우선은 글자가 다르니 당연히 어감차이가 있는 것이고, 둘째는,
don't have는 가지고 있다.없다에서 없다.있지 않다. 라고 움직임말.have를 직접부정하는 것이고,
no money는 '있다.have'라는 말 그 자체를 직접부정하지 않고, money를 부정하여 간접적이 되기 때문에, don't have의 어감이 직접적이고 강하다.
물론 말이라는 것이, 상황과 어감에 따라 판이하게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꼭 그런 것은 아니지만, 어감차이를 보면;
여보게, 돈 좀있나? => 없는데. No money.
그러지 말고, 좀 빌려주게나. => 난 돈이 없네. I have no money.
상황이 급해서 ... => 난 돈을 안가지고 있어. I don't have money.
그럼 조금이라도... => 난 돈은 조금도 안가지고 있어. I don't have any money.
■ never는 not과 ever가 합쳐진 말(not+ever => never)이므로, ever를 부정하는 말이다.
ever는 '태어나서 말하는 지금까지 쭉/계속해서'의 뜻을 가진 말이다.
그러니 안(not)과 쭉(ever)를 합치면 => 태어나서 지금까지 쭉 ~아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쭉 ~아니다(~하지 않는다)라는 뜻이 되므로 not보다 뜻이 강할 수밖에 없다.
부연하면, never는 지금까지 쭉(한번도) ~아니었고, 지금도 그렇고, 앞으로도 쭉(한번도) ~아니다. 라는 어감이다.
never는 움직임말 앞에와서 'never+움직임말' 모양이 된다.
I will come there. => I will not come there.
=> I will never come there.
나는 마음쓰인다. *mind[마인드] 마음/신경 쓰이다
I mind. => I do not mind.
=> I never mind.
■ ~못하다
한글에서 '못'은 두 가지 어감으로 쓰인다.
▶상황상 할 수 있지만, 안하겠다 는 쓰임
이봐 자네! 부정적으로 그러지 말고 그렇게 하게! => 못합니다. 이때 '못한다' 할 수 있는 능력은 되지만, 어떤 판단 또는 기분상 '하지 않겠다'는 어감이다. => 여기에 해당하는 영어는, I will not~이다.
Hey,you. Do not be negative like that, and do so! => I will not do so!
▶하고 싶지만 상황상 또는 능력상 '할 수 없다'
오늘 바이어가 온다는데, 누가 영어 할 수 있나? 자네 어떤가? => 못합니다.
이때의 '못한다'는 하고 싶어도 능력이 안된다는 뜻이며, 이런 어감의 영어 표현은 ,I can not~이다.
A buyer is expected to come today. Who can do English well? => I can not.
■이번에는,
움직임말은 쓰임에 따라 Ving, Ved, toV로 모양이 바뀌는 것을 알고 있는데, 그렇게 바뀐 모양에 안.not 또는 no를 붙여서 말할 수 있을까? 지당하지.
가 아니면 말아? To go or not to go?
놀아? 말아? To play? Not to play?
흡연금지. No smoking here.
잡담금지. No talking here.
■■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