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ep1_30: 해야한다: must, have to, have got to, should, be
toV
■must [머ㅏ스트]
자신이 '하고 말고의 선택'을 할 수 있는 일을,
자신이 개인적으로 생각컨데 ~해야 한다. ~할 필요가 있다. ~해야겠다. ....라는 어감
■have(has,had)
toV
= have got toV = have gotta[곹타] V
have[해브]는 어떤 상태에 있다, toV 는
할(해야할).
둘을 합치면 => 해야할 상태에 있다. 해야할 상황에 처해 있다는 말이므로, 자신이 하고 말고를 선택할 수 있는게
아니라 외부(다른 사람, 법, 규칙, 정부, 회사, 학교, ... 등등)에 의해 강제되어 있어서 싫든 좋든 의무적으로 해야 한다, 따라야 한다는
어감
■must+ not = mustn't[머ㅏ쓰은트]
must는 외부에 의해 강제된 것이 아니고, 말하는 자신의
개인적인 생각에 ~해야겠다라는 어감인데, not을 붙여 부정하면
=> 자신의 개인적인 생각으로 판단해서는 안된다
=>
자기자신.법.규칙.정부.학교.... 등으로부터 무엇을 하지 말도록, 하지 않도록 강한 의무가 주어져있다, 금지되어 있다. 그렇게 하려면, 허락을
받아야 한다는 어감.
■don't have to
have toV는 외부에 의해 강제되어 있어서 따라야 한다는 어감인데,
not으로 부정하면
=> 외부에 의해 강제되어 있지 않다. ~하도록 의무가 주어져 있지 않다
=> 하고 싶으면 할 수도
있고 하기 싫으면 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할지 말지는 자신에게 달렸으니 자신이 결정하기 나름이라는 어감.
※참고: don't need toV
need는 무엇을 하려면 꼭.반드시 필요하다. 그 무엇이 없으면 무엇(생존.기능.목표달성...)을 할 수 없다. 그래서 꼮 있어야 한다...라는 어감이니까, don't need toV는 그렇게 할 필요가 없다. 그렇게 하지 않아도 무엇(생존.기능.목표달성...)할 수 있다...라는 어감이다.
■must와
have to
▶모양 변화
must는 조동사이므로, 나/I, 너/you, 그이/he, 그녀/she, 그것/it .... 등
인칭과 수에 관계없이 모양이 must로 일정하고, 과거모양(했어야 했다)은 없다.
have to V는 뜻은 must와 같이
'해야한다' 이지만, 조동사가 아니므로, I have to, You have to, He has to, She has to, It has to,
They have to, I had to...와 같이 인칭과 수 그리고 시간에 따라 모양이 변한다.
▶기본적인 말을
해보면,
I must do.
not> I must not do. 줄이면=> I mustn't
do.
?> Must I do?
I have to do.
not> I don't have to do.
?> Do I have to do?
■must V 또는 have toV : 아래의 상황에서 어느 쪽이
적합할까?
물론, 말하는 사람의 생각이나, 처한 상황이나... 등에 따라 상대적이지만, 위에서 설명한 어감을 가지고
말해보자.
a. I
must go to school.
b. I
have to go to school.
a. 강제.의무는 없지만 내가
생각컨데, 가야한다, 갈 필요가있다는 어감.
b. 싫고
좋고 간에, 의무.강제로 갈 수밖에 선택의 여지가 없다는 어감.
a. You mustn't
steal. *훔치다 steal[스티일]
b. You don't have to steal.
a. 도둑질은 사회적으로 허용되지 않는다는
어감으로 => 훔쳐서는 안된다.
b. 도둑질을 하고.말고는 네게 달렸다는 어감으로 => 네맘대로
해라.
1>> 내일 아침에 빠지면 안되는
회의가 있어서 일찍 일어나야 할 상황에서:
내일 일찍 일어나야 한다.(must get up? have to get
up?)
|
I have to get up early
tomorrow.
not> I:you?> have to: must 로 바꾸면
어감은?>
|
2>> 과일이 건강에 좋다고
다들 열심히 먹는 분위기에서, 내가 생각컨데:
나는 과일을 많이 먹어야겠다.(must eat? have to
eat?)
|
I must eat much
fruits.
not> I:you?>
|
3>> 회사의 규정에 의해
유니폼을 입어야 할 상황에서:
나는 유니폼을 입어야 한다. (must wear? have to
wear?)
|
I have to wear a
nuniform.
not> I:you?>
|
4>> 운동을 하면 건강에
좋다고 다들 열심히 운동하는데:
나는 운동을 열심히 해야겠다. (must do excercise? have to
excercise?)
|
I must do
excercise.
not> I:you?>
|
5>> 중병으로 진단을 받고
의사의 처방으로 약을 먹어야 할 상황에서:
나는 이 약을 먹어야 한다. (must take? have to
take?)
|
I have to take this
medicine. *약 medicine[메디신]
not> I:you?>
|
6>> 내일은 일요일이고,
특별한 일도 없어서:
나는 내일 일찍 일어나지 않아도 된다.
(mustn't get up, don't have to
get up)
|
I don't have to get up
early tomorrow.
|
7>> 강의실앞이나, 신중을
기해야 하는 실험실 같은 곳에서는 잡답을 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 상황에서:
너는 여기서 얘기하면 안된다. (mustn't
talk, don't have to talk)
|
You mustn't talk in
here.
mustn't: don't have to 로 바꾸면 어감이 어떻게 되나?>
|
8>> 반찬거리가 하나도
없지만, 반드시 시장을 봐야한다는 규정은 없는 상황에서: 나는 시장보러 가지 않아도 된다.
(mustn't go buying, don't
have to go buying)
|
I don't have to go
buying foods.
|
9>> 요즘은 건물안에서 흡연이
금지되어 있다. 이런 상황에서:
너는 건물안에서 흡연하면 안된다. (mustn't smoke, don't have to
smoke)
|
You mustn't smoke in
this building.
mustn't: don't have to 로 바꾸면 어감이 어떻게
되나?>
|
10>> 더 많은
표현들
|
탐이 무엇을 할지.말지를 고민하고 있는
탐을 보면서:
탐, 너는 시도해 보아야 한다. =>Tom, you must try it.
피부가 안 좋은 베티를
보면서,
베티, 너는 과일을 좀 많이 먹어야 한다.
=>Betty, you must eat some more
fruits.
아침을 먹든 말든 그것은 자유다. 그런 상황에서:
나는 아침을 먹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 I
don't have to eat breakfast.
사장님이 Mr Kim이라고 부르지 말라고 엄명을 내린 상태에서:
너는
사장을 Mr Kim이라고 부르지 말아야 한다.
=> You mustn't call the owner "Mr
Kim".
절대적으로 기밀을 유지해야하는 일에 대해:
너는 다른사람에게 말하지 말아야 한다.
=> You
mustn't tell anyone.
영어공부를 반드시 해야한다는 규정은 없다. 그런 상황에서:
나는 영어공부를 하지 않아도
된다.
=> I don't have to study English.
|
■must, have toV,
should
should[슈드]는 ~하는 것이 이치에 맞다, 지당하다, 당연하다, 옳다... 그런 어감으로 ~해야한다 라는
말이다.
a.I must do my duty. *duty[듀티] 마땅히 해야할 의무
b.I've to
do my duty.
c.I should do my duty.
어느 것이 적합할까?
a.내가 지금 내
의무를 할지.말지를 생각해보니, 해야겠다 라는 어감이고
b.내가 싫고 좋고를 떠나서, 외부에서 강제하니까 해야한다 라는
어감이고
c.내 의무이니까, 하는 것이 이치에 맞고, 지당하다는 어감이다.
(선거때가 되서) 누구를 찍어야 하나?
찍다?
투표하다 vote[보우트]
나는I+ should+ vote for who => I should vote for who.
물으면?> 조동사있나? should 있다 => Should I vote for who?
who맨 앞으로>
=> Who should I vote for?
should:must로 바꾸면> Who
must I vote for? 이치에 맞고.안맞고가 아니라, 내 개인적인 생각을 기준으로, 누굴 찍어야 하나? 라는
어감이되고,
should:have to로 바꾸면> Who do I have to vote for? 내 생각이나, 이치에 맞고.안맞고가
아니라, 외부에 의해 강제되어 있으니, 외부에서 정한 사람을 찍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이니까, 누구를 찍도록 정해져 있느냐 라는 어감이
된다.
지금까지 동고동락해왔는데, 이제와서, 수잔을 가라고 한다고? 그건 이치에 맞지 않아. => 그렇게 하면
안되.
You should not do so.
※should not => should가 이치에 맞다.지당하다 라는 말이니까
not을 붙이면, 이치에 맞지 않다. 옳지 않다라는 어감이 된다.
■must, have toV, should, be
toV
be는 ~한상태에 있다.없다에서 있다는 말이고
toV는 ~할.~해야할... 그런 어감이니까, 합치면 '~해야할 상황.상태에
있다'라는 어감으로 '~해야한다'라는 말인데, 주로 사용설명서, 안내문... 등에서 많이 볼 수 있고, 또 어른들이 아이들에게 일러주는 말을 할
때 흔히 들을 수 있다.
모든 방문자는 모자를 벗어시오.
All vistors are to take off hats.
수업중에는 조용히 하거라. You are to
be quiet in class.
▶안.not을 붙이면,
be는 있다.없다에서 있다+ not toV ~하지
말아야할 => 그러니까 ~하지 말아야할 상황에 있다. ~하지 말아라... 라는 어감이 된다.
늦지 말아라.
You are not to be late.
서로 싸우지 말아라. You are not to fight
each other.
▶어감을 비교해보면;
You are to
agree. *agree[어그리: 동의하다]
You must agree.
You have to agree.
You should
to agree.
You are not to agree.
You mustn't agree.
You don't have
to agree.
You shouldn't agree.
11>> 더 많은
표현들
|
임신중에는 어떤
음식을 피해야 하나요?
태아의 건강이 달린 문제이니, 단순히 내 생각만으로 판단할 일이
아니므로 must는 좀 그렇고, 임신중에 술마신다고 경찰이 잡아가는 것도 아니므로 have to는 더더욱 어감이 안맞고, 엄마가 태아를 보호하는
것은 생각.판단의 문제가 아니라 지당한 일이니까 => Which foods should I avoid during
pregnancy?
가족의 건강, 자식들 교육,....이런 저런
상황들을 생각해 보면서;
어디에 살아야 하나? => Where should I
live?
두 사람이 경기를
하는데, 두 선수 모두 잘 아는 사이라면, 둘다 응원을 하고 싶지만, 이런 저런 이치를 따져 보면서: 누구를 응원해야 되나?
=>
Who should I cheer for?
긴히 상의할 일이 있어서 Mr.Hong을 만나야겠는데, 아무 때나
가서는 될 일이 아니고, ... 그런 상황에서, 언제 Mr.Hong을 접촉해야 하나?
=> When should I
contact Mr. Hong?
야, 이놈들아! 그래, 네놈들 말대로 내가 죽어야
한다면, 내가 죽는 것이 당연하다면,... => If I should die, ....
이럴 수도 없고, 저럴 수도 없고. 이럴땐 어떻게 해야하나?
=> 이치에 맞게 하게. => Do as it should be.
자전거를 타고 가다가, 어른과 얘기하게 되었는데, 어린 것이 떡하니
자전거에 걸터 앉아 있으니, => 자전거에서 내리는 것이 옳단다.
=> You should get off your
bike.
저당을
끄야.갚아야 합니까? =>
Should I pay off my mortgage?
Mr.Lee가 담당이니까, 그런 일이라면, 그가 회의에
참석하도록 허락하는 것은 지당하다 => Mr.Lee should be allowed to be at the
meeting.
길에서 못된 짓을 하고 있는 아이들을 보고, 어른으로서 하지
말라고 하는 것은 지당하다 => As adults, we should ask them to stop it.
투표가 끝났으면, 결과를 발표해야지, 왜 아직도 안해? =>
결과를 발표하는 것은 지당한 거야. => The results should be published without
delay.
|
■■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