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ch와 so를 붙여서 말덩이를 만들때의 쓰임과 어감 그리고 낱말의 순서를 익혀보자.-
■such[써취]와 so[쏘오]의 기본적인 쓰임과 어감 그리고 위치를 익혀보면,
such는 이름말을 꾸미는 말(형용사)로 '그러한'이란 뜻이고, so는 꾸밈말(형용사,부사)를 꾸미는 말(부사)로 '그렇게'라는 뜻이다. 즉, such는 '그러한(such)+ 무엇'이라는 어감으로 연결이 되고, so는 '그렇게(so)+ 어떠한'이라는 어감으로 연결이 된다. 한글로는 그러한, 그런, 그런 정도로, 그렇게, 아주, 매우...와 같이 다양하게 번역이 된다. 그런 어감을 가지고 익혀보면,
행복한.happy
+ 아주.매우.very => very happy 아주 행복한
very: so로 바꾸면=> so happy 그렇게(아주) 행복한
행복하게.happily
+ 아주.매우.very => very happily 아주 행복하게
very: so로 바꾸면=> so happily 그렇게(아주) 행복하게
쉬운.easy
+아주.매우.very => very easy 아주 쉬운
very:so로 바꾸면=> so easy 그렇게(아주) 쉬운
쉽게.easily[이질리]
+ very => very easily 아주 쉽게
very: so => so easily 그렇게(아주) 쉽게
※ 한글로, '아주 쉬워'라고 하는 것과 '그렇게(그런 정도로) 쉬워'라고 하는 것은 크게 보면, 둘다 '아주.매우'라는 말이지만, '아주'라는 말과 '그렇게'라는 말의 어감차이가 있듯이, very와 so는 어감차이가 있다. 즉, so(그렇게)는 '정도.수준...'이라는 어감을 담고 있다.
것.thing
+ 좋은.good => good thing 좋은 것
thing은 꾸밈말이 아니고, 이름말이니까 such =>
good: such로 바꾸면 => such thing 그런 것 (그런 정도의, 그런 종류의....)
차.car
+ 빠른.fast => (a) fast car 빠른 차
fast: 그런.such => such (a) car 그런 차
중요한.important[임포턴트]에 붙이려면? '그렇게...중요한'이라는 어감으로 연결이 되니까, so
=> so important : It's so important. 그렇게(아주) 중요해.
중요성.importance[임포턴스]에 붙이려면? '그러한(그러한 정도로)...중요함.중요성'이라는 어감으로 연결이 되니까, such
=> such importance : This has such importance. 이건 그러한 중요성을 가지고 있어.
행복한.happy에 붙이려면? '그렇게...행복한'이라는 어감으로 연결되니까, so
=> so happy : I'm so happy. 나는 그렇게(아주) 행복해.
행복함.happiness[해피니스]에 붙이려면? '그러한(그러한 정도로)...행복함'이라는 어감으로 연결되니까, such
=> such happiness : I know such happiness. 나는 그러한 행복함(감)을 알아.
즉, so는 꾸밈말과 말덩이를 이루고, such는 이름말과 말덩이를 만든다. 이름말과 붙여서 말하고 싶으면 such라고 하고, 꾸밈말과 붙여서 말하고 싶으면 so라고 하면 되는 것이다. 위에서 익힌 어감을 가지고, 아래의 말들을 붙여 말덩이를 만들어 보자.
so(그렇게.아주)+
아름다운.beautiful, 아름답게.beautifully, 추운.cold, 춥게.chilly[췰리], 더운.hot, 좋은.good, 나쁜.bad, 나쁘게.badly[배들리], 빠른.fast, 빠르게.fast, 느린.slow, 느리게.slowly, 쉬운.easy, 쉽게.easily, 기쁜.glad, 기쁜.pleased, 지친.tired, 축처진.depressed,...
such(그러한)+
사람.person, 날씨.weahter, 재미.흥.fun, 시골.countryside[컨트리싸이드], 인내.patience[페이션스], 때.시간.time, 곳.장소.place,...
■좀더 긴 말덩이를 만들어보면,
날씨 => weather[웨더]
+지독한.awful[오풀] => awful weather 지독한 날씨
+그러한.such, 위치는? => 어떤 어감으로 연결이 되나? '그러한(such)+ 지독한 날씨(awful weather)'라는 어감으로 연결이 되니까, such+ awful weather
=> such awful weather 그런(정도로) 지독한 날씨
+그렇게.so, 위치는? => 어떤 어감으로 연결이 되나? '그렇게 지독한(so awful)+ 날씨(weather)'라는 어감으로 연결이 되니까, so awful+ weather
=> so awful weather 그렇게 지독한 날씨
남자 => man
남자는 헤일수 있고 한명이니까, a => a man
+친절한.kind, 위치는? '친절한 한(kind a)' '친절한 남자(kind man)', '친절한 남자(kind man)'이라고 해야 어감상 말이 되니까, a+ kind man
=> a kind man 친절한 남자
+그러한.such, 위치는? => 어떤 어감으로 연결이 되나? '그런(such)+ 한 친절한 남자(a kind man)'이라는 어감으로 연결이 되니까, such+ a kind man
=> such a kind man
+그렇게.so, 위치는? => 어떤 어감으로 연결이 되나? '그렇게 친절한(so kind)+ 한 남자(a man)'이라는 어감으로 연결이 되니까, so kind+ a man
=> so kind a man
어제 모임에서 잘 놀았어? => 아주 좋은 시간이었어(잘 놀았어).
좋은 시간을 가진다 => have a good time.
좋은 시간이었어. => I had a good time.
+so? such?..., time이 이름말이니까, such, 어감의 연결은? 그러한(such)+ 좋은 시간(a good time)
=> I had such a good time.
그문제 해결되었어? => (그 일로) 아주 머리가 아파.
머리가 아파.=> I've got a headache [헤드에이크:두통].
+아주, so? such?..., headache가 이름말이니까, such,
=> I've got such a headache.
■양이 많다.적다...라는 낱말과 같이 말해보자.
헤일수 있는 경우: 많은 many[메니], 적은 few[피유]
헤일수 없는 경우: 많은 much[머취], 적은 little[리틀]
양을 나타내는 many, few, much, little와 같이 말덩이를 만들때는, 양의 많고/적음에 어감이 실리게 되므로, many,few,much,little를 강하게 말하게 된다. 즉, many,few,much,little를 꾸며서 더 강한 말덩이를 만드는 어감이어서, so라고 말하게 된다.
아주 많은 사람들 => people
+많은...사람들은 헤일수 있으니까, many => many people
+아주...so? such? => 단순히 위에서 익힌 것을 기준으로 어감없이 말하면, people이 이름말이니까, such라고 해야하지만,
=> '아주 많은 사람들'이라는 말에서는, '아주 많은+ 사람들'이라는 어감으로 연결이 되니까, 많은.many를 꾸미는 so를 붙여야 어감이 맞다. 그래서, '아주 많은(so many)+ 사람들(people)
=> so many people : So many people are crowded there. 그기에 사람들이 그렇게 많이 모여있어.
아주 적은 상품들 => goods
+(거의 없다는 뜻으로) 조금...상품은 헤일수 있으니까, few => few goods
+아주.so? such? => '아주 적은(so few)+ 상품들(goods)'라는 어감으로 연결이 되니까
=> so few goods : There are so few goods at the shop. 그 가게에는 상품이 아주 조금있어.
아주 많은 물 => water
+많은...물은 헤일수 없으니까, much => much water
+아주...so? such? => '아주 많은(so much)+ 물(water)'이라는 어감으로 연결이 되니까
=> so much water : There is so much water. 물이 아주 많이 있어.
아주 적은 휴식 => rest[레스트:휴식]
+적은...휴식은 헤일수 없으니까, little => little
+아주...so? such? => '아주 적은(so little)+ 휴식(rest)'라는 어감으로 연결이 되니까
=> so little rest : I had so little rest. 난 아주 조금 쉬었어.
※그러면, There are such little kids.
이건 무슨 말인가? 방금 위에서 little은 '아주 적은(so little)라는 어감으로 연결이 된다고 했는데, such little이라니? 말이 안될까?
little는 양을 말할 때는 '적다'는 말이고, 크다/작다와 같이 크기를 말할때는 '작다'는 말이다. 여기서는, 양이 '적은'이 아니고, 크기가 '작은'이라는 말이다. 즉,
=> There are such little kids.는 아주 어린애들이 있다.는 말이다. 그러면,
'kids가 아주 조금있다'라고 말하려면?
+조금...애기들은 헤일수 있으니까, few => few kids
+아주...'아주 적은(so few)+ 애기들(kids)'
=> There are so few kids. 애기들이 아주 조금 있다.
형용사.부사.명사의 순서 1: 이름말을 꾸며서 말덩이를 만들때 낱말의 순서를 익혀보자(형용사).>>
형용사.부사.명사의 순서 2: 이름말을 꾸며서 말덩이를 만들때 낱말의 순서를 익혀보자.>>
■such[써취]와 so[쏘오]의 기본적인 쓰임과 어감 그리고 위치를 익혀보면,
such는 이름말을 꾸미는 말(형용사)로 '그러한'이란 뜻이고, so는 꾸밈말(형용사,부사)를 꾸미는 말(부사)로 '그렇게'라는 뜻이다. 즉, such는 '그러한(such)+ 무엇'이라는 어감으로 연결이 되고, so는 '그렇게(so)+ 어떠한'이라는 어감으로 연결이 된다. 한글로는 그러한, 그런, 그런 정도로, 그렇게, 아주, 매우...와 같이 다양하게 번역이 된다. 그런 어감을 가지고 익혀보면,
행복한.happy
+ 아주.매우.very => very happy 아주 행복한
very: so로 바꾸면=> so happy 그렇게(아주) 행복한
행복하게.happily
+ 아주.매우.very => very happily 아주 행복하게
very: so로 바꾸면=> so happily 그렇게(아주) 행복하게
쉬운.easy
+아주.매우.very => very easy 아주 쉬운
very:so로 바꾸면=> so easy 그렇게(아주) 쉬운
쉽게.easily[이질리]
+ very => very easily 아주 쉽게
very: so => so easily 그렇게(아주) 쉽게
※ 한글로, '아주 쉬워'라고 하는 것과 '그렇게(그런 정도로) 쉬워'라고 하는 것은 크게 보면, 둘다 '아주.매우'라는 말이지만, '아주'라는 말과 '그렇게'라는 말의 어감차이가 있듯이, very와 so는 어감차이가 있다. 즉, so(그렇게)는 '정도.수준...'이라는 어감을 담고 있다.
것.thing
+ 좋은.good => good thing 좋은 것
thing은 꾸밈말이 아니고, 이름말이니까 such =>
good: such로 바꾸면 => such thing 그런 것 (그런 정도의, 그런 종류의....)
차.car
+ 빠른.fast => (a) fast car 빠른 차
fast: 그런.such => such (a) car 그런 차
중요한.important[임포턴트]에 붙이려면? '그렇게...중요한'이라는 어감으로 연결이 되니까, so
=> so important : It's so important. 그렇게(아주) 중요해.
중요성.importance[임포턴스]에 붙이려면? '그러한(그러한 정도로)...중요함.중요성'이라는 어감으로 연결이 되니까, such
=> such importance : This has such importance. 이건 그러한 중요성을 가지고 있어.
행복한.happy에 붙이려면? '그렇게...행복한'이라는 어감으로 연결되니까, so
=> so happy : I'm so happy. 나는 그렇게(아주) 행복해.
행복함.happiness[해피니스]에 붙이려면? '그러한(그러한 정도로)...행복함'이라는 어감으로 연결되니까, such
=> such happiness : I know such happiness. 나는 그러한 행복함(감)을 알아.
즉, so는 꾸밈말과 말덩이를 이루고, such는 이름말과 말덩이를 만든다. 이름말과 붙여서 말하고 싶으면 such라고 하고, 꾸밈말과 붙여서 말하고 싶으면 so라고 하면 되는 것이다. 위에서 익힌 어감을 가지고, 아래의 말들을 붙여 말덩이를 만들어 보자.
so(그렇게.아주)+
아름다운.beautiful, 아름답게.beautifully, 추운.cold, 춥게.chilly[췰리], 더운.hot, 좋은.good, 나쁜.bad, 나쁘게.badly[배들리], 빠른.fast, 빠르게.fast, 느린.slow, 느리게.slowly, 쉬운.easy, 쉽게.easily, 기쁜.glad, 기쁜.pleased, 지친.tired, 축처진.depressed,...
such(그러한)+
사람.person, 날씨.weahter, 재미.흥.fun, 시골.countryside[컨트리싸이드], 인내.patience[페이션스], 때.시간.time, 곳.장소.place,...
■좀더 긴 말덩이를 만들어보면,
날씨 => weather[웨더]
+지독한.awful[오풀] => awful weather 지독한 날씨
+그러한.such, 위치는? => 어떤 어감으로 연결이 되나? '그러한(such)+ 지독한 날씨(awful weather)'라는 어감으로 연결이 되니까, such+ awful weather
=> such awful weather 그런(정도로) 지독한 날씨
+그렇게.so, 위치는? => 어떤 어감으로 연결이 되나? '그렇게 지독한(so awful)+ 날씨(weather)'라는 어감으로 연결이 되니까, so awful+ weather
=> so awful weather 그렇게 지독한 날씨
남자 => man
남자는 헤일수 있고 한명이니까, a => a man
+친절한.kind, 위치는? '친절한 한(kind a)' '친절한 남자(kind man)', '친절한 남자(kind man)'이라고 해야 어감상 말이 되니까, a+ kind man
=> a kind man 친절한 남자
+그러한.such, 위치는? => 어떤 어감으로 연결이 되나? '그런(such)+ 한 친절한 남자(a kind man)'이라는 어감으로 연결이 되니까, such+ a kind man
=> such a kind man
+그렇게.so, 위치는? => 어떤 어감으로 연결이 되나? '그렇게 친절한(so kind)+ 한 남자(a man)'이라는 어감으로 연결이 되니까, so kind+ a man
=> so kind a man
어제 모임에서 잘 놀았어? => 아주 좋은 시간이었어(잘 놀았어).
좋은 시간을 가진다 => have a good time.
좋은 시간이었어. => I had a good time.
+so? such?..., time이 이름말이니까, such, 어감의 연결은? 그러한(such)+ 좋은 시간(a good time)
=> I had such a good time.
그문제 해결되었어? => (그 일로) 아주 머리가 아파.
머리가 아파.=> I've got a headache [헤드에이크:두통].
+아주, so? such?..., headache가 이름말이니까, such,
=> I've got such a headache.
■양이 많다.적다...라는 낱말과 같이 말해보자.
헤일수 있는 경우: 많은 many[메니], 적은 few[피유]
헤일수 없는 경우: 많은 much[머취], 적은 little[리틀]
양을 나타내는 many, few, much, little와 같이 말덩이를 만들때는, 양의 많고/적음에 어감이 실리게 되므로, many,few,much,little를 강하게 말하게 된다. 즉, many,few,much,little를 꾸며서 더 강한 말덩이를 만드는 어감이어서, so라고 말하게 된다.
아주 많은 사람들 => people
+많은...사람들은 헤일수 있으니까, many => many people
+아주...so? such? => 단순히 위에서 익힌 것을 기준으로 어감없이 말하면, people이 이름말이니까, such라고 해야하지만,
=> '아주 많은 사람들'이라는 말에서는, '아주 많은+ 사람들'이라는 어감으로 연결이 되니까, 많은.many를 꾸미는 so를 붙여야 어감이 맞다. 그래서, '아주 많은(so many)+ 사람들(people)
=> so many people : So many people are crowded there. 그기에 사람들이 그렇게 많이 모여있어.
아주 적은 상품들 => goods
+(거의 없다는 뜻으로) 조금...상품은 헤일수 있으니까, few => few goods
+아주.so? such? => '아주 적은(so few)+ 상품들(goods)'라는 어감으로 연결이 되니까
=> so few goods : There are so few goods at the shop. 그 가게에는 상품이 아주 조금있어.
아주 많은 물 => water
+많은...물은 헤일수 없으니까, much => much water
+아주...so? such? => '아주 많은(so much)+ 물(water)'이라는 어감으로 연결이 되니까
=> so much water : There is so much water. 물이 아주 많이 있어.
아주 적은 휴식 => rest[레스트:휴식]
+적은...휴식은 헤일수 없으니까, little => little
+아주...so? such? => '아주 적은(so little)+ 휴식(rest)'라는 어감으로 연결이 되니까
=> so little rest : I had so little rest. 난 아주 조금 쉬었어.
※그러면, There are such little kids.
이건 무슨 말인가? 방금 위에서 little은 '아주 적은(so little)라는 어감으로 연결이 된다고 했는데, such little이라니? 말이 안될까?
little는 양을 말할 때는 '적다'는 말이고, 크다/작다와 같이 크기를 말할때는 '작다'는 말이다. 여기서는, 양이 '적은'이 아니고, 크기가 '작은'이라는 말이다. 즉,
=> There are such little kids.는 아주 어린애들이 있다.는 말이다. 그러면,
'kids가 아주 조금있다'라고 말하려면?
+조금...애기들은 헤일수 있으니까, few => few kids
+아주...'아주 적은(so few)+ 애기들(kids)'
=> There are so few kids. 애기들이 아주 조금 있다.
형용사.부사.명사의 순서 1: 이름말을 꾸며서 말덩이를 만들때 낱말의 순서를 익혀보자(형용사).>>
형용사.부사.명사의 순서 2: 이름말을 꾸며서 말덩이를 만들때 낱말의 순서를 익혀보자.>>
'낱말 익히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낱말익히기: 그리고(and) 또는(or) (1) | 2009.04.13 |
---|---|
낱말익히기:공공의.공식적인.형식적인 public, official, formal, private, usual, casual, unofficial, informal (0) | 2009.01.14 |
낱말익히기: 좋은.훌륭한.멋진 good, nice, fine, great, excellent, wonderful, fantastic (0) | 2009.01.10 |
낱말익히기: 꾸밈말 표2 (0) | 2009.01.07 |
낱말익히기: 꾸밈말 표1 (0) | 2009.01.06 |
낱말익히기: 반품.교환.환불한다 return, exchange, replace, refund, repay (0) | 2008.12.24 |
낱말익히기: 사다 buy, purchase, shop (0) | 2008.12.23 |
낱말익히기: 가족,가정,집 family,home,house,flat,apartment,mansion,residence (0) | 2008.12.22 |
낱말익히기: 초과/미만, 이상/이하 above/under, over/below, more/less, excess/short (2) | 2008.12.21 |
낱말익히기: 역일, 영업일, 한편넣기, 양편넣기 Calendar day, working day, business day, inclusive, including, exclusive, excluding (0) | 2008.12.11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