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est 붙이기와 발음: 꾸밈말에 더.er[어ㄹ], 가장.제일.est[이스트]라는 어감을 붙여서 편하게 발음을 해보자.

☞ 유연하게 말하기 목록보기   ☞ 모두 열기 모두 닫기 ?
더 예쁜, 더 빠른...과 같이, 꾸밈말에 '더'를 붙여서, 무엇과 비교하여 '더' 어떠하다...라고 말을 하고, 가장 예쁜, 가장 빠른...과 같이 꾸밈말에 '가장.제일'을 붙여, 무엇과 비교하여 '가장.제일'어떠하다 라고 표현하는데,
한글의 '더'라는 어감을 붙이려면, 영어에서는 꾸밈말 뒤에 'er[어ㄹ]'를 붙이면 되고, '가장.제일'이라는 어감을 붙여려면 꾸밈말 뒤에 'est[이스트]를 붙이면 된다.
긴 낱말의 경우에는 더.more[모어] 가장.제일.most[모스트]라는 낱말을 붙여서 말하고, 짧은 낱말이지만 몇 가지는 more.most를 붙여 말하는 경우도 있다. 차례로 익혀보자.


■짧은 낱말+ er[어ㄹ], +est[이스트]: 짧은 낱말에는 더.er[어ㄹ], 가장.est[이스트]를 붙이면 된다.

빠른. quick[퀵]
=> 더 빠른. quick+ er[어ㄹ]        => quicker[퀵커ㄹ]
=> 제일 빠른. quick+ est[이스트]=> quickest[퀵키스트]

넓은.large[라아쥐]   => larger[라아쥐어: 더 넓은], largest[라아쥐스트: 가장 넓은]
친절한.kind[카인드] => kinder[카인더: 더 친절한], kindest[카인디스트: 가장 친절한]


꾸밈말 뒤에 바로 er이나 est를 붙이면, 발음이 잘 안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런 경우에는 발음이 편하게 잘 되도록 꼬리를 변경하게 된다. 아래에 있는 내용을 무작정 외우지 말고, 그렇게 함으로써 발음이 편하게 된다는 것을, 소리를 내면서 몸에 감각적으로 익혀보자.

▶자음+ e
자음+e로 끝나는 낱말에, er(또는 est)를 붙이면 e가 겹쳐서 ee가 되고, 그러면, [이]발음이 겹쳐서 길게 나게 되므로, e를 떼고, r 또는 st만 붙여야 발음이 제대로 된다.
늦은.late[레이트]에
+er > late+er> lateer[레이티어ㄹ]=> later[레이터ㄹ:더 늦은]
+est> late+est> lateest[레이티이스트]=> latest[레이티스트:제일 늦은]

▶짧은 모음+ 자음
'짧은 모음+ 자음'으로 끝나면, 자음을 하나 겹치고, er(또는 est)를 붙인다.
떠거운.hot[홑]에 er[어ㄹ]를 붙이면, 발음이 hoter[호+터]가 되어서, hot이라는 낱말이 제대로 들리지 않게 되므로, hot+ t + er[홑+터]와 같이 자음을 겹쳐서 hot[홑]가 제대로 소리가 나도록 한다.

떠거운.hot[홑] => hotter[홑터:더 떠거운], hottest[홑티스트:가장 떠거운]
큰.big[빅]       => bigger[비ㄱ거: 더 큰], biggest[빅기스트: 가장 큰]
얇은.thin[씬]   => thinner[씬너: 더 얇은], thinnest[씬니스트:가장 얇은]

▶자음+y
낱말이 '~자음+y'로 끝나면, 끝에 있는 y가 반모음이어서, 발음의 연결이 편하지 않으므로, y를 완전한 모음인 i로 바꾸고, er 또는 est를 붙여서, 발음하기 편하도록 한다.
y가 반모음이라는 말은, 예컨데, yes는 y[이]+ es[에스] => yes[이+에스 => 예스]라고 소리가 나는 것처럼, 다른 모음과 합쳐서 소리가 나게 된다. 그래서,

행복한.happy[해피]에 er[어ㄹ]를 붙이면
=> hap+ p+ y => happ+y+er=> happyer.[해펴ㄹ]가 되어서, 발음이 편하지 않으므로 y를 온전한 [이]소리가 나는 i로 바꾸면
=> happ+ i+ er => happier[해피어ㄹ]가 되어 발음이 편해 지는 것이다.

행복한.happy[해피] => happier[해피어:더 행복한], happiest[해피스트:가장 행복한]
예쁜.pretty[프리티]  => prettier[프리티어: 더 예쁜], prettiest[프리티스트: 가장 예쁜]
화난.angry[앵그리]  => angrier[앵그리어: 더 화난], angriest[앵그리스트: 가장 화난]
이른.early[어얼리]   => earlier[어얼리어: 더 이른], earliest[어얼리스트:가장 이른]
친한.friendly[프랜들리] => friendlier[프랜드리어: 더 친한], friendliest[프랜드리스트: 가장 친한]


■짧지만, more.most를 붙여서 말하는 낱말들

▶낱말앞에 'a'를 붙여서 만들어진 낱말들

닯은.alike[얼라이크]         => more alike, most alike
졸리는.asleep[어슬맆]      => more asleep, most asleep
두려운.afraid[어프레이드] => more afraid, most afraid
살아있는.alive[얼라이브]   => more alive, most alive
알고 있는.aware[어웨어]   => more aware, most aware
깨어있는.awake[어웨이크] => more awake, most awake

▶낱말뒤에 '~ful[풀:가득한], ~less[리스:없는], ~able[에이블:가능한], ~ous[어스:~한 성질.현상이 있는], ~ive[이브:~적인]..을 붙여서 만들어진 낱말이나, 움직임말을 꾸미는 말중에 ~ly[리:~하게.히]로 끝나는 낱말에는 more.most를 붙여서 말한다.

아름다운.beautiful[뷰우티풀]=> more beautiful, most beautiful
쓸데없는.useless[유스리스] => more useless, most useless
먹기좋은.eatable[이트블] => more eatable, most eatable
유명한.famous[페이머스] => more famous, most famous
활동적인.active[액티브] => more active, most active
천천히.slowly[슬로울리] => more slowly, most slowly

▶옳다.그르다, 진짜.가짜, 닮은.안닮은...과 같은 어감을 가진 낱말에는 more.most를 붙여서 말한다.

옳은.right[라이트] => more right, most right
틀린.wrong[로옹] => more wrong, most wrong

진짜의.real[리얼]     => more real, most real
가짜의.fake[페이크] => more fake, most fake

닮은.like[라이크]          => more like, most like
안닮은.unlike[언라이크] => more unlike, most unlike

가치있는.worth[워어쓰] => more worth, most worth


■긴 낱말에는 more.most를 붙여서 말한다.

복잡한.complex[콤플렉스] => more complex, most complex
어려운.difficult[디피컬트]   => more difficult, most difficult
재미있는.interesting[인터레스팅] => more interesting, most interesting
효과적인.efficient[이피션트] => more efficient, most efficient


■모양자체가 바뀌는 7개 (좋다.나쁘다, 많다.적다.)

좋은.good[굳]                 => better[베터:더 좋은], best[베스트: 가장 좋은]
(잘한다...에서)잘.well[웰] => better[베터: 더 잘], best[베스트: 가장 잘]

나쁜.bad[배드] => worse[워ㄹ스: 더 나쁜], worst[워ㄹ스트: 가장 나쁜]
나쁜.ill[일]       => worse[워ㄹ스: 더 나쁜], worst[워ㄹ스트: 가장 나쁜]

많은(개수).many[메니] => more[모어: 더 많은], most[모스트: 가장 많은]
많은(량).much[머취]    => more[모어: 더 많은], most[모스트: 가장 많은]

적은.little[리틀] => less[레스: 더 적은], least[리스트: 가장 적은]


■두가지 모양으로 바뀌고, 뜻이 달라지는 경우 2개

먼.far[파아]
=> farther[파아더ㄹ], farthest[파아디스트] 거리.공간.시간이 더 먼, 가장 먼
=> further[퍼어더ㄹ], furthest[퍼어디스트] 수준.정도.깊이...가 더 깊은, 가장 깊은

Can you walk farther, Tom? 톰 (거리나 시간상으로) 더 멀리 걸을 수 있겠니?
If you want further information,... (수준이나 정도. 깊이가) 더 깊은 정보가 필요하시면,...

늦은.late[레이트]
=> later[레이터], latest[레이티스트] 시간의 어감을 가지고, (더) 나중에, 가장 나중에(가장 나중에를 뒤집어면, 최근에)
=> latter[랱터], last[라스트] 앞.뒤, 차례...와 같은 순서의 어감을 가지고, (더) 뒷쪽의(후반부.후자), 가장 뒤쪽의(맨 마지막의)

See you later, Tom. 톰, 나중에 보자.
That's in the latter part of this book. 그건 이책 후반부에 있어요.
We can see in the latter part of December. 12월 후반에 볼 수 있겠네.

a) This is the latest models. 가장 최근에 나온 모델입니다.
b) This is the last models. 이게 마지막 모델입니다.
a)=> 신모델이 앞으로도 계속해서 나오는데, 나온 것 중에서는 가장 늦게 즉, 최근에...라는 어감이고,
b)=> 예컨데, 예정된 모델이 10개가 있었다면, 그 중에 맨 마지막(10번째) 모델이다 라는 어감이어서, 더 이상은 없고 끝났다...라는 어감이다.


■위에서 보았듯이, 딱 떨어지는 규칙이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다만, 위에서 정리한 것을 염두에 두고, 꾸밈말을 익히면, 좀더 편리하고 정확하게 기억하는데 도움이 될 수는 있겠다. 꾸밈말을 익힐 때는, 예컨데,
쉬운.easy[이지], easier[이지어], easiest[이지스트]와 같이 그때그때 모양을 익히는 것이 편하다.

동급.비교급.최상급: ~만큼, 더 ~한, 제일.가장 ~한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