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해? 뭐 좀 하느라고. 아무것도 안해.... 의사결정을 한다. 제안을 한다. 동의를 한다...그렇게 해보세...에서 '한다'에 해당하는 영어낱말은 do, make, try가 있는데, 상황과 어감에 따라 적절한 낱말을 쓸 수 있도록 어감을 익혀보자.
■한다 do,does,did - doing,done
[두,더즈,디드 - 두잉.도온]
do는 모든 움직임 말에 기본적으로 들어 있는 '한다'라는 어감의 말이니까, 행동.실천을 한다.안 한다에서 '한다'라는 어감, 즉, 구체적으로 어떻게 한다...가 아니라, 좀 막연하고.두리뭉실하고...그런 어감으로 '무엇을 한다'라는 말이다.
☞ 더 보기 >>
■만들다 make,makes,made - making,made
[메이커,메이ㅋ스,메이드 - 메이킹,메이드]
make는 한다.do의 구체적인 움직임말 가운데 하나로서, 이것저것 재료를 가지고, 깍고.붙이고.엮고.다듬고.맞추고...해서 무엇을 만든다. 라는 어감의 말이니까, 건축.요리...같은 물리적인 것은 물론이고, 이런저런 자료.정보.수자.생각...등을 가지고 이리저리 맞추고.생각하고.판단하고...해서 결정.제안.계산...을 해서 무엇이 되게.되도록 한다는 어감의 말이다.
☞ 더 보기 >>
■해본다 try,tries,tried - trying,tried
[트라이,트라이즈,트라이드 - 트라잉,트라이드]
원하거나.관심이 있거나.호기심이 있거나...한 무엇을 얻겠다.하겠다는 긍정적인 마음을 가지고 행동을 한다.라는 어감의 움직임말이고, 한글의 '~해보다'라는 말과 어감이 비슷하다.
☞ 더 보기 >>
■do와 make, try의 어감을 비교하면서 익혀보자.
'한다'라는 말을 do와 make로 딱히 선을 긋기는 쉽지 않지만, 어감을 비교해보자.
톰과 린다와 수잔과 존과...무언가를 논의한 후에, 우린 할 수 있어.
한다.안한다라는 단순한 어감으로 말하면=> We can do it.
어떻게 하든 일이 되게.되도록 만들어 낼 수 있어 라는 어감으로 말하면=> We can make it.
부장님이, 이 일은 누군가는 해야되지 않겠는가. 누가 이 일을 하겠나?
=> 구체적인 어감없이, 단순히 한다.안한다에서 한다는 어감이니까 do
=> Who will do this?
=> 마찬가지 어감으로, 제가 하겠습니다.=> I'll do it,sir.
부장님이, 톰, 이 건에 회사의 사활이 달렸네. 어떻게 하든 일이 (성사)되도록 해야 하네.
=> 단순히 한다.안한다는 어감을 넘어서, 어떻게 연구.분석.실행...을 하든 간에 일이 되도록 만들어라...라는 어감이니까 make.
=> Tom, You have to make it.
=> 마찬가지 어감으로, 예, (일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 Yes,sir. I'll make it.
=> 될지 안될지는 알 수 없지만, 해보겠습니다. => I'll try, sir.
경기가 나쁜데도, 본사에서 무리한 판매목표를 강요할 때, 하겠다 라는 말을
=> 무슨 수를 써더라도 목표를 달성해.만들어 내겠다 라는 어감으로 하면 => I'll make it.
=> 되고 안되고는 모르겠고, 하라니까 못한다고 할 수는 없고, 그냥 하겠다 라는 어감이면 => I'll do it.
=> 상황상 어렵기도 하고, 될지 안될지도 모르겠지만...긍정적인 자세로 힘써서 해보겠다 라는 어감이면 => I'll try it.
톰이 이러쿵저러쿵.여차여차...합니다. 그러니, 이 일을 할 수 있게 허락해 주십시오.라고 하니까, 부장님이, 허락을 하면서,
(복잡하고 상세한 내용은 모르겠지만) 해봐.라는 어감이면 => Do it.
(할려면, 성공하게 만들어 봐)라는 어감으로 해봐. => Make it.
뭐해? 응 저녁해.
a)I'm doing dinner. =>구체적인 어감없이, 단순히 저녁을 한다.안한다에서 한다 라는 어감이고
b)I'm making dinner. 반찬을 만들고, 밥을 짓고, 국을 끓이고, 수저를 놓고...그래서 저녁이 되도록 만든다...그런 어감이 있다.
이보게, 잘 될거니까 노력하게.
a) Do an effort. => 구체적인 어감없이 단순히 노력한다.안한다에서 하라는 어감이고.
b) Make an effort. => (성공하도록) 이것저것 연구하고.생각하고.실천하고....그래서, 되도록 하라는 어감이다.
걱정하지마. 내가 네게 뭔가를 해줄 수 있을거야.
a)I can do something for you. 구체적이지않고. 뭔가를 한다.안한다에서 한다는 어감이고
b)I can make something for you. 뭔지는 몰라도, 이리하든 저리하든 어떻게든 뭔가가 되도록 만들어 낼 수 있겠다는 어감이다.
곧 회신해드리겠습니다.
a)I'll do reply soon. 구체적인 어감없이. 회신을 한다.안한다에서 한다.라는 어감
b)I'll make reply soon. 내용을 검토하고.연구하고.생각하고...해서 결정을 하고, 회신을 하도록 하겠다는 구체적인 어감.
어떻게 결정을 내려야 할지 모르겠네.
a)I don't know how to do a decision. 결정한다.안한다에서 한다는 단순한 어감이고
b)I don't know how to make a decision. 무엇을 어떻게 분석.판단.결정해야할지...라는 어감이다.
결정하다 = make a decision
노력하다 = make an effort
............와 같이 고정을 시키지 말고, do와 make,try의 본질적인 어감을 가지고, 상황과 어감에 따라 do와 make,try를 유연하게 말할 수 있도록 하자.
하다.Do(동사.대동사) - 움직임말의 아버지 Do를 운용해 보자
움직임말의 아버지 하다.Do를 운용해 보자
■한다 do,does,did - doing,done
[두,더즈,디드 - 두잉.도온]
do는 모든 움직임 말에 기본적으로 들어 있는 '한다'라는 어감의 말이니까, 행동.실천을 한다.안 한다에서 '한다'라는 어감, 즉, 구체적으로 어떻게 한다...가 아니라, 좀 막연하고.두리뭉실하고...그런 어감으로 '무엇을 한다'라는 말이다.
☞ 더 보기 >>
■만들다 make,makes,made - making,made
[메이커,메이ㅋ스,메이드 - 메이킹,메이드]
make는 한다.do의 구체적인 움직임말 가운데 하나로서, 이것저것 재료를 가지고, 깍고.붙이고.엮고.다듬고.맞추고...해서 무엇을 만든다. 라는 어감의 말이니까, 건축.요리...같은 물리적인 것은 물론이고, 이런저런 자료.정보.수자.생각...등을 가지고 이리저리 맞추고.생각하고.판단하고...해서 결정.제안.계산...을 해서 무엇이 되게.되도록 한다는 어감의 말이다.
☞ 더 보기 >>
■해본다 try,tries,tried - trying,tried
[트라이,트라이즈,트라이드 - 트라잉,트라이드]
원하거나.관심이 있거나.호기심이 있거나...한 무엇을 얻겠다.하겠다는 긍정적인 마음을 가지고 행동을 한다.라는 어감의 움직임말이고, 한글의 '~해보다'라는 말과 어감이 비슷하다.
☞ 더 보기 >>
■do와 make, try의 어감을 비교하면서 익혀보자.
'한다'라는 말을 do와 make로 딱히 선을 긋기는 쉽지 않지만, 어감을 비교해보자.
톰과 린다와 수잔과 존과...무언가를 논의한 후에, 우린 할 수 있어.
한다.안한다라는 단순한 어감으로 말하면=> We can do it.
어떻게 하든 일이 되게.되도록 만들어 낼 수 있어 라는 어감으로 말하면=> We can make it.
부장님이, 이 일은 누군가는 해야되지 않겠는가. 누가 이 일을 하겠나?
=> 구체적인 어감없이, 단순히 한다.안한다에서 한다는 어감이니까 do
=> Who will do this?
=> 마찬가지 어감으로, 제가 하겠습니다.=> I'll do it,sir.
부장님이, 톰, 이 건에 회사의 사활이 달렸네. 어떻게 하든 일이 (성사)되도록 해야 하네.
=> 단순히 한다.안한다는 어감을 넘어서, 어떻게 연구.분석.실행...을 하든 간에 일이 되도록 만들어라...라는 어감이니까 make.
=> Tom, You have to make it.
=> 마찬가지 어감으로, 예, (일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 Yes,sir. I'll make it.
=> 될지 안될지는 알 수 없지만, 해보겠습니다. => I'll try, sir.
경기가 나쁜데도, 본사에서 무리한 판매목표를 강요할 때, 하겠다 라는 말을
=> 무슨 수를 써더라도 목표를 달성해.만들어 내겠다 라는 어감으로 하면 => I'll make it.
=> 되고 안되고는 모르겠고, 하라니까 못한다고 할 수는 없고, 그냥 하겠다 라는 어감이면 => I'll do it.
=> 상황상 어렵기도 하고, 될지 안될지도 모르겠지만...긍정적인 자세로 힘써서 해보겠다 라는 어감이면 => I'll try it.
톰이 이러쿵저러쿵.여차여차...합니다. 그러니, 이 일을 할 수 있게 허락해 주십시오.라고 하니까, 부장님이, 허락을 하면서,
(복잡하고 상세한 내용은 모르겠지만) 해봐.라는 어감이면 => Do it.
(할려면, 성공하게 만들어 봐)라는 어감으로 해봐. => Make it.
뭐해? 응 저녁해.
a)I'm doing dinner. =>구체적인 어감없이, 단순히 저녁을 한다.안한다에서 한다 라는 어감이고
b)I'm making dinner. 반찬을 만들고, 밥을 짓고, 국을 끓이고, 수저를 놓고...그래서 저녁이 되도록 만든다...그런 어감이 있다.
이보게, 잘 될거니까 노력하게.
a) Do an effort. => 구체적인 어감없이 단순히 노력한다.안한다에서 하라는 어감이고.
b) Make an effort. => (성공하도록) 이것저것 연구하고.생각하고.실천하고....그래서, 되도록 하라는 어감이다.
걱정하지마. 내가 네게 뭔가를 해줄 수 있을거야.
a)I can do something for you. 구체적이지않고. 뭔가를 한다.안한다에서 한다는 어감이고
b)I can make something for you. 뭔지는 몰라도, 이리하든 저리하든 어떻게든 뭔가가 되도록 만들어 낼 수 있겠다는 어감이다.
곧 회신해드리겠습니다.
a)I'll do reply soon. 구체적인 어감없이. 회신을 한다.안한다에서 한다.라는 어감
b)I'll make reply soon. 내용을 검토하고.연구하고.생각하고...해서 결정을 하고, 회신을 하도록 하겠다는 구체적인 어감.
어떻게 결정을 내려야 할지 모르겠네.
a)I don't know how to do a decision. 결정한다.안한다에서 한다는 단순한 어감이고
b)I don't know how to make a decision. 무엇을 어떻게 분석.판단.결정해야할지...라는 어감이다.
결정하다 = make a decision
노력하다 = make an effort
............와 같이 고정을 시키지 말고, do와 make,try의 본질적인 어감을 가지고, 상황과 어감에 따라 do와 make,try를 유연하게 말할 수 있도록 하자.
하다.Do(동사.대동사) - 움직임말의 아버지 Do를 운용해 보자
움직임말의 아버지 하다.Do를 운용해 보자
'낱말 익히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낱말익히기: 생각한다 think, imagine, guess, suppose, feel (0) | 2008.11.19 |
---|---|
낱말익히기: 고맙다 thank, appreciate (1) | 2008.11.15 |
낱말익히기: 예.아니오 yes,no (0) | 2008.11.14 |
낱말익히기: 미안하다.용서하세요 apologise, sorry, excuse, pardon (0) | 2008.11.13 |
낱말익히기: 듯하다.것 같다.처럼 보인다 seem, look, appear (0) | 2008.11.12 |
낱말익히기: 존칭.높임.정중: Sir.Madam, Mr.Mrs.Miss, Would you~ Could you~ May I~ Can I~ Could I~ (0) | 2008.11.02 |
낱말익히기: 오다.가다.돌아오다.돌아가다.떠나다 come, go, return, leave (0) | 2008.11.02 |
낱말익히기: 요리하다 make, cook, prepare (0) | 2008.11.01 |
낱말익히기: 맛보다.맛이난다 taste. 다섯가지 맛: salty, sour, sweet, bitter, spicy(hot) (0) | 2008.10.31 |
낱말익히기: 마시다 drink, sip, gulp (0) | 2008.10.31 |
댓글을 달아 주세요